분류 전체보기 (84) 썸네일형 리스트형 타임리프 스프링 통합 문서 1~5 Tutorial: Thymeleaf + Spring Document version: 20181029 - 29 October 2018 Project version: 3.0.11.RELEASE Project web site: https://www.thymeleaf.org Preface 이 튜토리얼은 타임리프가 어떻게 스프링 프레임워크와 통합되는 지 설명한다, 특히 스프링 MVC와. 타임리프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3.x와 4.x 버전 모두 통합이 있다, 그것은 thymeleaf-spring3와 thymeleaf-spring4라는 서로 다른 라이브러리로 제공된다. 이 라이브러리들과 패키지들은 다른 .jar 파일들로 되어있고, classpath에 추가해야 한다, 애플리케이션에서 타임리프-스프링 통합을 사용하려면... GETTING STARTED Apache Kafka Introduction What is event streaming? 이벤트 스트리밍은 사람의 중추 신경계에 해당하는 디지털 방식이다. 비즈니스가 소프트웨어로 정의되고 자동화되어있고 소프트웨어의 사용자는 더 많은 소프트웨어인 인터넷에 상시 접속된 세상의 기술적 토대이다. 기술적으로 이야기하자면, 이벤트 스트리밍은 데이터를 캡쳐하는 관행이다. 데이터베이스, 센서, 모바일 디바이스, 클라우드 서비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이벤트 소스로부터 이벤트의 스트림 형태로 값을 캡쳐하는. 이러한 이벤트는 나중에 검색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저장한다; 실시간 및 나중에 이벤트 스트림으로의 복제, 프로세싱, 반응; 그리고 이벤트 스트림을 다른 필요한 목적지로 라우팅 한다. 이벤트 스트리밍은 .. 스프링 입문 복습(2회차) start.spring.io에서 프로젝트 생성 Spring web tomcat ( 톰캣 서버 포함) 스프링 웹 mvc thymeleaf : 템플릿 엔진 starter spring-core -logging(slf4j, logback) test mockito 테스트 도와주는 것 junit 테스트 프레임 워크 assertj 테스트 코드를 더 편하게 작성하게 도와주는 라이브러리 spring-test: 통합 테스트 작성 항상 spring.io → spring boot feature 을 참조하기 컨트롤러( 웹 애플리케이션의 최초 진입점) 배포: 이제는 jar 파일하나만 실행시키면 됨 mvc에서 view를 사용하는 방법 정적 컨텐츠, 템플릿 엔진, API 정적 컨텐츠 : 고정적인 html 파일을 사용 템플릿 엔진: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 Chapter 7 함께 모으기 코드와 모델을 밀접하게 연관시키자 마틴 파울러의 객체지향 설계 안에 존재하는 세 가지 상호 연관된 관점 개념 관점 도메인 안에 존재하는 개념과 개념들 사이의 관계 도메인에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됨 도메인의 규칙과 제약을 최대한 유사하게 반영 명세 관점 소프트웨어로 초점이 옮겨짐 객체들의 책임에 초점을 맞추게 됨(객체의 인터페이스를 바라봄) 구현 관점 객체들이 책임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동작하는 코드를 작성(how) 개념 관점, 명세 관점, 구현 관점은 동일한 클래스를 세 가지 다른 방향에서 바라보는 것. 클래스는 세 가지 관점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개념, 인터페이스, 구현을 함께 드러내야 한다. 목표 도메인 모델에서 시작해서 최종 코드까지의 구현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 구현 클래스를 개념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 Chapter 6 객체 지도 지도는 실세계의 지형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추상화된 모델 다양한 목적을 위해 재사용될 수 있음 어떤 목적으로 지도를 사용할지 알지 못한다. 길을 갈 때 → 어떻게 어떻게 가세요 ( 기능) 지도를 보고 감 → (구조와 같음) 소프트웨어 설계에 있어서도 기능보다는 구조를 중시하자 소프트웨어의 특징 → 요구사항은 항상 변한다 → 구조를 잘 잡으면 요구사항(기능)이 변해도 쉽게 풀어나갈 수 있음 구조를 기반으로 모델을 구축하는 편이 좀 더 범용적이고 이해하기 쉬우며 변경에 안정적이다. 안정적인 구조를 따라 역할, 책임, 협력을 구성하라. 전통적인 기능 분해는 자주 변경되는 기능을 중심으로 설계한 후 구조가 기능에 따르게 한다. 객체지향 접근방법은 자주 변경되지 않는 안정적인 객체 구조를 바탕으로 시스템 기능을 객..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 Chapter 5 책임과 메시지 훌륭하고 성장 가능한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핵심은 모듈이 어떻게 커뮤니케이션하는가 명확한 책임과 역할을 지닌 참가자들이 협력에 참여해야 한다는 것 → 부여받지 않은 책임을 기대하기 어려움 자율적인 책임 자율성→ 자기 스스로의 원칙에 따라 어떤 일을 하거나 자신을 통제해서 절제하는 성질이나 특성 타율성→ 자신의 의지와 관계없이 정해진 규율이나 원칙에 따라서만 움직이는 성질 객체가 어떤 행동을 하는 유일한 이유는 다른 객체로부터 요청을 수신했기 때문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객체가 수행하는 행동을 책임이라고 함 객체지향의 아름다움이란 적절한 객체에게 적절한 책임을 할당하는 것 책임-주도 설계: 적절한 책임의 선택이 전체 설계의 방향을 결정하기 때문 협력의 의도를 명확하게 표현하지 못할 정도로 추상적인 것 역시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 Chapter 4 역할, 책임, 협력 인간은 이기적이고 합리적인 존재 → 그러나 관계를 맺는 과정 속에서 인간은 본연의 특성을 배제하고 자신의 이익을 최소화 →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느냐가 인간의 행동을 결정한다. → 인간의 행동을 결정하는 문맥은 타인과의 협력 협력에 초점을 맞춰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함 → 협력에 무시하는 오만한 객체를 창조X → 조화를 이루며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는 협력적인 객체를 창조 협력 협력은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할 때 시작된다. 재판 속의 협력 → 재판을 하기 위해, 왕, 토끼, 증인이 협력함 요청과 응답→ 협력에 참여하는 객체가 수행할 책임 책임 어떤 요청에 대해 대답해줄 수 있거나, 적절한 행동을 할 의무가 있는 경우, 해당 객체가 책임을 가진다고 함 객체지향 개발에서 가장 중요한 능력은 책임을 능..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 Chapter 3 타입과 추상화 추상화를 통해 타입을 만듬 추상화의 예: 지하철 노선도 ( 목적에 집중하여 필요없는 부분들 삭제) 현상은 복잡하고, 법칙은 단순함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특정절차나 물체를 의도적으로 생략하거나 감춤으로써 복잡도를 극복하는 방법 → 구체적인 사물들 간의 공통점은 취하고, 차이점은 버리는 일반화를 통해 단순화 → 불필요한 세부사항 제거 → 객체라는 추상화를 통해 현실의 복잡성을 극복 그룹으로 단순화하기 → 공통점으로 묶기 : 사람은 본능적으로 공통적인 특성으로 객체들을 여러 그룹으로 묶어 동시에 다뤄야하는 가짓수를 줄여버림 세상에 존재하는 등장인물들을 트럼와 토끼로 나누어서 복잡성을 감소시킴세상에 존재하는 등장인물들을 트럼와 토끼로 나누어서 복잡성을 감소시킴 분류(Classification)을 통해 clas..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 Chapter 2 이상한 나라의 객체 사람은 아기 때부터 뚜렷한 경계를 가지고 함께 행동하는 물체를 하나의 개념으로 인지함 =⇒ 객체 선천적으로 타고난 인지 능력을 이용해 세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객체를 식별하고 분류함으로써 세상을 이해한다. → 세상을 더 작은 객체로 분해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세상이 포함하고 있는 복잡성을 극복하기 위한 인간의 작은 몸부림 객체란 인간이 분명하게 인지하고 구별할 수 있는 물리적인 또는 개념적인 경계를 지닌 어떤 것 객체 지향 패러다임 → 현실 세계를 기반으로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는 것 앨리스 객체 앨리스가 한 행동의 결과는 앨리스의 상태에 의존적이다. 행동간의 순서 → 크기를 줄여야 작은 문을 통과할 수 있음 -상태를 가지며 변경 가능 -상태를 변경시키는 것은 앨리스 객체의 행동 행동의 결과는 상태에 의존적이..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Chapter 1 협력하는 객체의 공동체 객체에 직접적으로 대응되는 실세계의 사물을 발견할 확률은 그다지 높지 않다. 객체지향의 목표: 실세계를 모방하는 것이 아니다.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는 것이다. 객체를 스스로 생각하고 스스로 결정하는 현실세계의 생명체에 비유 = 상태와 행위를 캡슐화하는 소프트웨어 객체의 자율성을 설명하는데 효과적이다. 협력 = 메시지를 주고 받으며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협력함 (연결완전성?) 커피가게의 예시 손님: 주문할 책임이 있음 캐시어: 주문 받을 책임 (바리스타한테 전달할), 커피 전달할 책임 바리스타: 커피 제조의 책임 서로 협력관계이며, 협력관계속에 자신의 책임을 다함 역할, 책임, 협력하는 다른 사람과 접촉하는 모든 곳에 존재한다. 도움을 요청(request) -하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사람.. 이전 1 ···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