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력이 많이 들어간)정리 (2) 썸네일형 리스트형 카프카 파티션 정책에 관하여 kafka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kafka와 파티션에 대한 이야기를 진행한다. 우선 kafka는 메시지 큐의 한 종류인 이벤트 브로커로서 기존 producer/consumer 구조에서는 각 애플리케이션들이 커넥션을 맺어야했지만, kafka를 사용하면 kafka에서 연결들을 관리해줘서 괜찮다. kafka에 있는 메시지 큐를 topic이라고 한다. 그리고 topic의 데이터가 너무 많아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partition이라는 개념이 있다. partition은 물리적인 저장단위로, topic은 1개 이상의 partition으로 저장된다. 그러면 여기에 생각해 볼 것이 있다. producer -> partition -> consumer로 구성되는데 partition, consumer.. Spring MVC RestController 실행전 정리 (1)Client에서 Server에 Http req를 전송하고, (3) Server에서 Client에 Http res를 전송한다. 그사이에 서버는 (2)무엇인가를 처리한다. MVC패턴 및 Spring MVC에서 (2)에 해당하는 것을 Controller라고 할 수 있다. 고전적인 MVC 패턴에서는 model이 view를 observing하고 있어서, model이 변하면 view가 변경되지만, client에 front web server를 두고 있는 경우, view는 model과 바로 통하지않고, 모든 정보를 controller를 통해 받아온다. 이번 칼럼의 주제는 핵심적인 데이터의 흐름과 Dispatcher Servlet이다. 1. WAS라는 말을 찾아본 결과, 외국에서는 잘 쓰이지않고, 한국에서만 잘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