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기록/객체지향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 Chapter 3 타입과 추상화

추상화를 통해 타입을 만듬

추상화의 예: 지하철 노선도 ( 목적에 집중하여 필요없는 부분들 삭제)

현상은 복잡하고, 법칙은 단순함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특정절차나 물체를 의도적으로 생략하거나 감춤으로써 복잡도를 극복하는 방법

→ 구체적인 사물들 간의 공통점은 취하고, 차이점은 버리는 일반화를 통해 단순화

→ 불필요한 세부사항 제거

→ 객체라는 추상화를 통해 현실의 복잡성을 극복

그룹으로 단순화하기 → 공통점으로 묶기

: 사람은 본능적으로 공통적인 특성으로 객체들을 여러 그룹으로 묶어 동시에 다뤄야하는 가짓수를 줄여버림

세상에 존재하는 등장인물들을 트럼와 토끼로 나누어서 복잡성을 감소시킴세상에 존재하는 등장인물들을 트럼와 토끼로 나누어서 복잡성을 감소시킴

분류(Classification)을 통해 class를 생성...

객체를 묶기 위한 그릇 → 개념

개념 그룹의 일원이 된 객체를 그 개념의 instance라고 부를 수 있음

개념의 세 가지 관점

symbol: 개념을 가리키는 간략한 이름이나 명칭

intension: 완전한 정의

extension: 개념에 포함되는 모든 객체의 집합

분류는 추상화를 위한 도구

→ 복잡한 세상을 추상화를 사용함으로서 그나마 제어 가능한 수준으로 단순화

타입

타입의 정의는 개념의 정의와 완전히 동일

→ 공통점을 기반으로 객체들을 묶기 위한 틀

→ 완벽하게 개념이랑 동일하더라도 기계로 들어오는 순간, 기계적인 의미로 윤색될 수 밖에 없음완벽하게 개념이랑 동일하더라도 기계로 들어오는 순간, 기계적인 의미로 윤색될 수 밖에 없음

데이터타입

메모리에 어떻게 표현할 지는 외부로부터 철저하게 감춰진다.

컴퓨터 안에 살아가는 데이터를 목적에 따라 분류하기 시작하면서 프로그래밍 언어 안에는 서서히 타입 시스템이 자라나기 시작.

타입 시스템의 목적은 메모리 안의 모든 데이터가 비트열로 보임으로써 야기되는 혼란을 방지하는 것

→ 데이터가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관한 것

—> 숫자형 데이터와 문자형 데이터의 차이, 그에 따라 할 수 있는 것이 다르다.

→ 타입 시스템의 목적은 데이터가 잘못 사용되지 않도록 제약사항을 부과하는 것이다.

—> 개발자는 해당 데이터 타입의 표현 방식을 몰라도 데이터를 사용하는 데 지장이 없다.

데이터 타입이란?

→ 메모리 집합에 관한 메타데이터

→ 데이터에 대한 분류는 암시적으로 어떤 종류의 연산이 해당 데이터에 대해 수행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객체지향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객체를 일종의 데이터처럼 사용함

객체는 데이터인가? 그렇지 않음

객체에서 중요한 것은 객체의 행동

상태는 행동의 결과로 초래된 부수효과를 쉽게 표현하기 위해 도입한 추상적인 개념일 뿐

→ 어떤 객체가 어떤 타입에 속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객체가 수행하는 행동

→ 객체의 내부적인 표현은 외부로부터 철저하게 감춰진다.

따라서 객체의 내부 표현 방식이 다르더라도 어떤 객체들이 동일하게 행동한다면 그 객체들은 동일한 타입에 속한다. 동일한 책임을 수행하는 일련의 객체 ⇒ 동일한 타입에 속한다고 할 수 있음

동일한 행동을 하기만 하면 → 같은 타입

객체의 행동을 결정하는 것은 객체의 행동뿐

→ 내부의 데이터 표현 방식이 다르더라도, 동일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할 수 있음.

내부의 표현방식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처리방식은 서로 다를수 밖에 없음

→ 다형성 → 동일한 요청에 대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응답할 수 있는 능력

동일한 메시지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객체들은 동일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다형적인 객체들은 동일한 타입(또는 타입 계층)에 속하게 됨

외부의 행동만을 제공하고, 데이터는 행동 뒤로 감춰야 한다. → 캡슐화

책임주도 설계(RDD)는 데이터 주도 설계(DDD)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됐다

타입의 계층

트럼프가 아닌 트럼프 인간들

트럼프에 트럼프 인간이 포함됨( 트럼프 인간은 더 많은 행동을 할 수 있음)

일반화/특수화

(트럼프/ 트럼프 인간)

일반타입(supertype)/ 서브타입(subtype)

일반화, 특수화 관계를 결정하는 것은 행동. 트럼프 인간이 더 많은 행동을 할 수 있음

서브타입이라고 할 수 있으면 → 일반 타입을 대체할 수 있어야한다.

객체지향 패러다임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거의 대부분의 경우, 분류와 일반화/특수화 를 동시에 사용하게 됨

정적모델

타입을 사용하는 이유는 인간의 인지 능력으로는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하는 객체의 복잡성을 극복하기가 너무나 어렵기 때문

타입은 동적으로 변하는 객체를 정적으로 다룰 수 있게 해줌

타입은 추상화 → 정적인 관점에서 앨리스의 모습을 묘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줌

변하는 키(동적인 것)을 정적으로 볼 수 있게 해줌→ 앨리스의 키는 버섯을 먹거나, 음료를 마시거나, 부채질을 할 때마다 변할 것이다. 실제로 그런 행동을 할 때 키가 어떤 값을 가지는지는 중요하지 않음

객체가 특정 시점에 가지는 상태: 스냅샷(snapshot)

UML에서 스냅샷은 객체 다이어그램(object diagram)이라고 불림

동적 모델(dynamic model)이라고 하기도 함

객체가 가질 수 있는 모든 상태와 모든 행동을 시간에 독립적으로 표현 → 타입 모델

동적으로 변하지 않기 때문에 정적 모델(static model)이라고도 함

정적 모델과 동적 모델을 적절히 혼용해야 객체 지향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구현할 수 있음

정적인 모델 → 클래스를 통해 구현됨 (타입을 구현하는 보편적인 방법은 클래스)

자바스크립트와 같은 프로토타입 언어는 클래스가 존재하지 않음

그럼에도 객체지향을 주도하는 대부분의 언어에서 클래스를 지원하기 떄문에, 클래스와 타입을 동일한 개념이라고 생각함

객체를 분류하는 기준은 타입, 타입을 나누느 기준은 객체가 수행하는 행동

객체를 구현하기 위해 타입을 결정한 후 프로그래밍언어를 통해 구현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이 클래스, 클래스는 타입을 구현하기 위해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제공하는 구현 메커니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