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84)
[git] merge vs rebase merge: 브랜치를 합치는데 사용됩니다. 여기서 rebase를 사용하면 로그가 깔끔해집니다. 다시말하면, 일반적으로 develop 브랜치에서 기능을 개발할때, feature 브랜치를 만들고, 개발이 완료된 후 브랜치를 merge 합니다. 그러나 develop 브랜치에도 그사이에 개발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 feature에서 develop으로 merge를 하면, feature에서 commit 한 log 뿐만 아니라, 둘 사이에 문제를 없애기 위한 merge commit log가 추가됩니다. 그러나, rebase를 하고 merge를 하는 경우, merge에 관한 commit log가 필요없어집니다. rebase를 하면 feature의 base 가 develop의 최신 브랜치로 바뀌게 되어, 자동으..
offset과 consumer group kafka의 offset이란? partition에 붙어있는 레코드 번호. 레코드 번호는 0번 부터 시작하여 레코드가 쌓일 때마다 하나씩 증가한다. consumer offset: 컨슈머가 읽은 offset번호. consumer offset이 10번이면 이제 11번 레코드부터 가져가면 된다. committed offset: 컨슈머가 커밋한 offset번호. consumer가 읽는 도중에 commit할 수 있고, 만약 consumer가 장애시, 재부팅하여 해당 파티션을 다시 읽기 시작할때, committed offset 이후의 값들을 읽는다. consumer group: 컨슈머들의 그룹. 하나의 토픽을 컨슘할때, 모든 파티션을 컨슈머 그룹에 있는 컨슈머들끼리 나누어 소비하도록 한다. 컨슈머 그룹에 있는 컨슈머..
http 0.9~ 3 0.9 메서드 종류와 url 1.0 헤더 추가 1.1 여러개를 보낼 수 있는 파이프라이닝 일정시간 동안 connection을 유지함 2.0 항상 같은 헤더를 보내면 문제가 되니까 두번째 보내는 같은 헤더를 압축 스트림을 사용하여 결과값을 한번만 받아도 되도록 수정 (요청과 응답의 다중화) (리소스간 우선 순위 설정) (Server push) 3.0 udp기반의 quic을 사용하여, (지연 불가피)를 극복하고 Tcp 수준의 신뢰성을 확보 기존에는 하나가 잘못되면 처음부터 다시보내야했는데, 이제는 잘못된 부분 하나만 다시 보내게 하게 수정 uuid를 사용하여 server에서 저장할 필요없이 기존의 문제인 파이프라이닝 문제가 여러개를 보냈을 때, 오래걸리면 나머지가 오래걸리는 문제를 해결 TLS 기본 적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