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84) 썸네일형 리스트형 오브젝트 2장 - 객체지향 설계 영화 예매 시스템으로 예시( 충분히 복잡하다고 생각하자) 내부와 외부를 구분해야하는 이유( 멤버변수를 pirvate으로 선언하는 이유) → 객체에게 자율성을 주기 위해서( 남이 못건드리게 하기 위해서) 내부에서만 접근 가능한 것 = 구현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public = 인터페이스 프로그래머의 역할을 클래스 작성자와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머로 구분하는 것이 유용 → 클래스 작성자는 새로운 데이터 타입을 추가하고,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머는 클래스 작성자가 추가한 데이터 타입을 사용 클래스 작성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머에게 필요한 부분만 공개하고 나머지는 꽁꽁 숨겨야 한다. Money 클래스, 돈과 관련된 일을 처리해줌. long과 같은 것을 쓸수도 있었겠지만, 도메인의 의미를 풍부하게 해줌 협력의 관점에서 .. 오브젝트 - 1장 객체, 설계(강추) 우선 이챕터는 이해할 수 없을 가능성이 높음. ( 결론적으로 이해하기 매우 쉬웠음->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를 읽고 와서 그런건지.. 그런데 확실한 것은 그 책보다는 쉬움) 다른 챕터들의 내용을 축약해놓고, 그 다음에 하나씩하나씩 다음 챕터에서 나아갈 것이기 때문. 이론이 먼저인가? 실무가 먼저인가? 로버트 글래스 → 이론이 먼저인가? 실무가 먼저인가? 어떤 분야를 막론하고 이론을 정립할 수 없는 초기에는 실무가 먼저 급속한 발전을 이룬다. 실무가 어느정도 발전학 ㅗ난 다음에야 비로소 실무의 실용성을 입증할 수 있는 이론이 서서히 그 모습을 갖추고, 그 후에 이론이 실무를 추월하게 된다. 소프트웨어 분야 → 실무가 더 앞서있으며, 실무가 먼저 객체지향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유지보수하는데 필요한 원칙과 기법.. 리액트 개발 2~3주차 회고 recharts를 사용하여 차트를 그리고 있는데, 백엔드가 준비가 안되어, 테스트용 rest api서버를 만들어서 만들고 있다. dataType, dateType, chartType을 입력받아, 그것에 해당하는 차트를 그려주도록 유연하게 작성하고 있다. 현재는 리소스가 한개인 경우에 대해서만 차트를 그려주고 있지만, 다음주쯤에는 리소스가 여러개인 경우에 대한 차트도 그려줄 예정이다. recharts의 ResponsiveContainer가 작동하지 않는 오류가 있다. 와 같은 차트를 그릴수 있다. 더 복잡한 차트를 그리는 것은 다음주에 하기로 한다.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28 다음